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사업

퇴원 이후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재가 의료급여 사업 이용안내

by 쿠울75 2025. 3. 31.

병원 앞에 이쓴 휠체어를 탄 노인과 간병인

재가 의료급여 사업은 장기 입원 후 퇴원한 의료급여 수급자가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사업은 의료, 돌봄, 식사, 이동 지원 등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주거 환경 개선이나 복지용품 지원도 포함됩니다.

 

1. 주요 내용

 

1. 대상자: 장기 입원(1개월 이상) 후 퇴원이 가능하지만 의료적 필요가 낮은 의료급여 수급자.

2. 제공 서비스:

  - 필수 서비스: 의료 상담, 돌봄 서비스, 식사 제공, 이동 지원.

  - 선택 서비스: 주거 환경 개선, 냉난방 기구 제공, 복지용품 지원 등.

3. 목적: 의료급여 수급자의 삶의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을 목표로 합니다.

4. 운영 방식: 의료급여관리사가 대상자의 필요를 평가하고, 이에 맞는 케어 플랜을 수립하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사업은 2019년 시범사업으로 시작되어 2024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되었으며, 많은 수급자

들이 만족감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재가 의료급여 사업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필수 서비스와 선택 서비스로 나뉘며, 수급자의 필요

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됩니다.

재가 의료급여서비스 이용방법

2. 필수 서비스

 

1. 의료 서비스:

  - 방문 의료: 의사가 직접 가정을 방문하여 진료 및 처방을 제공합니다.

  - 건강 관리 및 교육 상담: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돌봄 서비스:

  - 가사 지원: 청소, 세탁 등 일상생활을 돕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간병 서비스: 거동이 불편한 수급자를 위한 간병 지원이 포함됩니다.

3. 식사 지원:

  - 도시락 제공: 균형 잡힌 식사를 제공하여 영양 상태를 관리합니다.

  - 식재료 지원: 직접 요리가 가능한 식재료를 제공합니다.

4. 이동 지원:

  - 병원 진료 시 이동을 돕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선택 서비스

 

1. 주거 환경 개선:

  - 주거 환경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개선하는 지원을 제공합니다.

2. 복지 용품 지원:

  - 냉난방 기구, 안전용품, 휠체어 등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합니다.

3. 기타 지원:

  - 심리 상담 서비스 및 생활 지원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돕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의료급여관리사가 수급자의 상태와 필요를 평가한 후, 적합한 케어 플랜을

수립하여 제공됩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어떤 절차가 필요한가요?

 

재가 의료급여 사업을 이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4. 신청 절차

 

1. 대상자 선정:

  - 시·군·구 의료급여 관리사가 기초 조사 및 상담을 통해 대상자를 선정합니다.

2. 케어 플랜 수립:

  - 상담을 통해 퇴원 후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지원 계획을 수립합니다.

3. 서비스 제공 및 연계:

  - 의료, 돌봄, 식사, 이동 등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합니다.

4. 모니터링:

  - 서비스 지원 현황을 점검하여 불편함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재가 생활을 유지합니다.

 

재가 의료급여 지원절차

5. 신청 방법

 

1.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 주민센터에서 의료급여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와 상담 후 신청 가능합니다.

2. 필요 서류:

  - 의사의 소견서(재택 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 포함)가 필수입니다.

 

이 절차를 통해 의료급여 수급자는 퇴원 후에도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재가 의료급여 사업을 이용하면 여러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의료급여 수급자가

퇴원 후에도 안정적으로 지역사회에 정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6. 주요 장점

 

1. 의료비 절감:

- 장기 입원 대신 재가 서비스를 통해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2. 삶의 질 향상:

- 맞춤형 서비스(의료, 돌봄, 식사, 이동 지원 등)를 통해 수급자가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편함을

  줄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합니다.

3. 지역사회 정착 지원:

- 퇴원 후에도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여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 심리적 안정:

- 정서적 지원과 상담 서비스를 통해 수급자의 심리적 안정과 행복감을 증진합니다.

5. 맞춤형 서비스 제공:

- 개인의 필요에 따라 주거 환경 개선, 복지용품 지원 등 다양한 선택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6. 사회적 비용 절감:

- 의료급여 관리사가 체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입원이나 의료비 지출을 줄이

  는 데 기여합니다.

재가 의료급여 지원내용

7. 문의

관할 시군 구청 의료급여 담당부서(재가 의료급여 사업 담당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