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사업

보건복지부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을 소개합니다

by 쿠울75 2025. 2. 2.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안내 사진

 

보건복지부의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은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 및 가족돌봄 청년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재가 돌봄, 가사 지원, 식사 및 영양관리, 심리 지원 등을 포함하여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는 유료 서비스입니다.

 기본 서비스는 월 12시간에서 72시간 이용 가능하며, 가격은 216,000원에서 1,296,000원으로 이용 시간에 따라 다릅니다.

특화 서비스로는 요리 교육, 식사 교류, 건강 상담, 생활 운동 프로그램 등이 있으며, 이용 유형에 따라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가격은 12만원에서 25만원으로 다양합니다.

 

보건복지부의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의 지원대상자는 주로 다음과 같은 분들입니다.

대상자는 질병, 부상, 고립 등으로 인해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19~64세)과, 그들을 돌보는 가족돌봄 청년(13~39세)입니다.

  1. 청·중장년(19~64세)
    •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로, 질병, 부상(진단서,소견서,장기요양인정서,근로능력판정결과서), 고립 등의 이유   로 스스로 생활이 어려운 경우.
    •  일상적인 돌봄이 필요하며 가사, 식사, 심리적 지원 등이 요구되는 분들.
  2. 가족돌봄 청년(13~39세)
    •  청·중장년의 가족 중 그들을 돌보는 역할을 하고 있는 청년들로 돌봄 필요성이 있는자(진단서,소견서,장기요양인정서,근   로능력판정결과서)
    •  돌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일상돌봄 서비스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분들

지원대상자는 그들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이동이 어려운 분들에게는 재가 돌봄 및 가사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심리적인 지원이 필요한 분들에게는 상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보건복지부 일상돌봄·긴급돌봄 서비스도 네이버 지도로 주변 제공기관을 검색·조회하고, 초기상담 예약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고 하였다. 네이버는 지난 하반기에 네이버 지도에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발달재활서비스 등 10개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에 대해 위치 기반 검색 ·예약기능등을 제공했고, 여기에 일상돌봄과 긴급돌봄 서비스가 추가됐다. 

네이버 지도 서비스 연계 도표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신청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1. 신청서류 준비: 신청서, 신청자의 신분증, 그리고 필요한 추가 서류를 준비합니다.
  2.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거주 지역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신청서를 접수합니다.
  3. 서비스 조사 및 심사: 읍·면·동에서 서비스에 대한 조사 및 심사를 진행합니다.
  4. 확정: 시·군·구청에서 서비스 지급 대상자를 결정하고 확정합니다.
  5. 서비스 제공: 일상돌봄 서비스 제공기관이나 선택한 민간 업체에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신청은 주민등록상 주소지에 있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진행하며, 본인이 직접 신청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본인이 직접 신청이 어려운 경우, 친족, 법정대리인, 신청자의 이해관계인, 또는 담당 공무원이 직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누리집이나 보건복지상담센터(☎129)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